매일 아침, 출근 전 스타벅스에서 커피를 사는 한 사람이 있어요. 이 사람은 스타벅스 앱을 통해 음료를 주문한 후, 출근하는 길에 매장에 들러 직접 음료를 받아가죠.
"엇, 내 이야기인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이렇게 익숙한 일상 속에서 이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깊이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단순히 커피를 사는 행위 뒤에는 복잡한 데이터가 숨어 있습니다. 앱에서 주문한 나와 매장에서 음료를 받아가는 나를 연결하는 다양한 데이터가 존재하죠.
그렇다면 기업에서는 오프라인 세상 속 나와 온라인 세상 속 나를 어떻게 연결할까요? 그 해답은 바로 Customer 360에 있습니다.
Customer 360은 고객 데이터를 통합하여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인데요. 고객 360, SCV(Single Customer View), 데이터 360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어요.
지난 뉴스레터에서는 Customer 360 구축 방법과 연동한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오늘은 온-오프라인 데이터 통합(Customer 360)의 기업 사례와 연동 방법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할게요.
온-오프라인 대통합! Customer 360을 실현한 예시
B 항공사는기내 면세품 판매 수익이 저조했어요. 따라서 판매율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 탑승권 구매 데이터와 오프라인 면세점 이용 데이터를 통합 분석했습니다.
이 분석을 통해 아래 3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어요.
1️⃣ 예매 후 실제 기내 면세품 구매로 이어지는 고객 비율을 파악
2️⃣ 면세품 구매 가능성이 높은 고객군
3️⃣ 고객이 선호하는 제품군 및 금액대
이 정보를 바탕으로,구매 가능성이 높은 고객에게 기내 탑승 전 특별 프로모션과 상품 추천을 제공하고, 고객이 선호할 만한 제품군과 금액대에 맞춰 기내 면세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했어요.
통합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기내 면세품 구매율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Customer 360에 대한 정보가 유용하셨나요?
온-오프라인 데이터 통합(Customer 360)을 통해 페인포인트를 해결한 기업 사례가 더 궁금하시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 전문을 확인해 주세요! 추가로 두 개의 흥미로운 기업 사례와 믹스패널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데이터 분석 방법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클릭해 보세요!